예전에 백준이나 릿코드에서 알고리즘 문제를 풀다보면 입력이 정말 복잡한 경우가 많다.
코딩을 하다보면 뭐 복붙으로 인해 클립보드가 예제 입력이 아닌 다른걸로 덮어씌워지는 경우가 많이 때문에...
나는 그냥 인풋 값을 텍스트 파일에 저장해서 코드만 수정하고 바로 실행해서 결과를 확인한다.
예전에 같이 연구실 사용하던 친구가 해당 방법을 알려준 이후로 지금까지도 유용하게 쓰고있다.
해당 설정 방법은 매우 쉽다.
1) 작성한 python 폴더가 있는 곳에 input.txt 파일을 하나 만든다.
2) Sublime text 3 > Tools > Build System > New Build System ... 을 클릭한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
{
"shell_cmd": "python3 -u $file < input.txt",
"selector": "source.python",
"working_dir": "$file_dir"
}
요런식으로 작성해준다. shell_cmd는 cmd에 직접 타이핑되는 명령이라고 생각하면된다.
working_dir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 input.txt 앞에 $file_path/input.txt 와 같이 표현해줘야한다.
3) 작성한 파일 저장
4) Sublime text 3 > Tools > Build System > [본인이 방금 만든 빌드 시스템선택]
요런식으로 설정해주고 Ctrl + B 를 통해 실행시켜주면 사용자의 입력 값을 input.txt를 통해 받아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짝짝짝
'Technical Docs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IaC(Infrastructure as Code) 란? (0) | 2022.06.21 |
---|